본문 바로가기

서울촌놈, 원주정착기

내가 짚고 있던 것이 목발인지 사랑인지

반응형

교통사고 이후, 많은 것이 바뀌었다.

골절된 무릎과 발가락에 철심을 박는 큰 수술은 하지 않았지만,

그렇다고 회복됐다고 하기엔 운동 능력은 떨어졌고,

통증은 계속됐다.

나는 이 시간을 보상받고 싶었다.

그리고 앞으로의 제약을 인정받고 싶었다.

그래서 후유장해 신청을 했다.

하지만 결과는 반려.

치료 기록과 증상들이 기준선에 애매하게 걸려 있었기 때문이다.

맥브라이드 장해평가서-예제(본인아님)



후유장해 평가 기준은

‘맥브라이드 방식’이라는 아주 세밀한 진단 방식이다.

검사비는 크지 않지만, 이 결과는 보험사에게 막대한 영향을 끼친다.

진단서를 작성하는 의사 입장에서도 큰 부담이다.

그래서 결국, 포기했다.

그리고…

1년 하고도 4개월 만에 합의를 했다.

그 긴 시간을 견딜 수 있었던 건,

한 사람 덕분이었다.

처음에는 직장에서 나를 챙겨주던 직원 중 한 명이었다.

퇴사 후에도 나를 찾아왔고,

우리는 그렇게 연애를 시작했다.

계절이 바뀜과 동시에 벤치에 앉은 여인이 엄마에서 여자친구로 바뀌었다



연고 없는 원주.

그곳에서 그녀는

내 가장 든든한 정서적 연고가 되어주었다.

1년 동안, 우리는 데이트다운 데이트를 거의 하지 못했다.

목발을 짚고 걷던 시절,

그녀는 내 걸음걸이를 맞춰주었다.

함께 버스를 타러 걸었던 시간,

차비를 아끼기 위해 걷던 하루 2시간,

원주의 골목을, 거리들을,

우리는 그렇게 함께 걸었다.

목발없이 걷기 연습할 때



시간이 흐르며,

나는 조금씩 걷고, 뛰고, 운동도 할 수 있게 되었다.

그 모든 변화의 순간을

그녀는 다 지켜봤다.

말없이.

몸이 회복되자, 다시 취업 걱정이 시작됐다.

이십 대부터 쌓아온 경력은

시간 앞에서 빛을 잃었고,

그 업계에서 나는

더는 필요하지 않은 나이가 되어 있었다.

다시 다른 일을 찾았다.

하지만 길어질수록,

내 선택이 틀린 것 같다는 후회가 밀려왔다.

그때마다

내 옆에 있는 사람은 늘 이렇게 말했다.

“뒤돌아보지 마.

이미 많이 왔고, 이제는 앞으로 가야 하니까.”

 

 

지금 나는

비로소 걸을 수 있고,

뛸 수 있고,

그리고 사랑을 하고 있다.

내가 다시 살아가는 이 길 위에

그녀가 있다는 것,

그게 내가 회복된 진짜 이유다.

침 개수 실화냐...



 

 

몸이 아팠던 시간보다, 그걸 받아들이는 마음이 더 아팠다.
하지만 그 마음을 감싸준 사람이 있어, 나는 다시 걷기 시작했다.

 

반응형